본문 바로가기

강준만

왜 마음에 없는 칭찬이라도 장려해야 할 미덕인가?: 칭찬 [강준만의 명언 에세이] 강준만 교수 “아첨은 쉽지만 칭찬은 어렵다” 수많은 유명인들이 칭찬에 대해 멋진 말들을 남겼습니다만, 양과 질에서 모두 압도적인 명언을 남긴 이는 17세기 프랑스 작가로 풍자와 역설의 잠언으로 유명한 라 로슈푸코(François de La Rochefoucauld, 1613~1680)가 아닌가 합니다. 그의 명언들을 몇 개 감상해볼까요? “칭찬에 손사래를 치는 건 한번 더 칭찬받고 싶어하는 욕망의 표현일 뿐이다.” “우리가 상대를 칭찬하는 것은 상대에게 칭찬을 되돌려 받고 싶은 욕심 때문이다.” “자신을 속이는 칭찬보다는 자신에게 유익한 비판을 선호할 만큼 충분한 지혜를 갖고 있는 사람은 드물다.” “우리는 종종 칭찬이란 수법을 통해서 그런 식이 아니면 감히 폭로할 수 없는 그 .. 더보기
왜 후안무치는 정치인의 필수 덕목인가? 강준만의 명언 에세이 정치인의 경쟁력이 된 후안무치(厚顔無恥) “아는 게 없으면서도 모든 것을 다 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야말로 정치인의 자질이 충분하다.” 영국 작가 조지 버나드 쇼(George Bernard Shaw, 1856~1950)의 말이다. 소련 지도자 니키타 흐루시초프(Nikita Khrushchev, 1894-1971)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정치인은 어느 나라에서건 똑같다. 그들은 강도 없는 곳에 다리를 놓아 주겠다고 약속하는 사람들이다”는 명언을 남겼다. 이걸 꼭 연구를 해봐야 아나 하는 생각도 들긴 하지만 도리스 그레이버(Doris Graber)의 연구(1988)에 따르면, 유권자들은 그러한 주장을 ‘가감해서’ 받아들이면서 일상적으로 무시한다. 유권자들의 이런 ‘지혜’가 오히려 정치인의.. 더보기
왜 우리는 남들이 욕망하는 것을 보고서 그것을 욕망할까? : 욕망 [강준만의 명언 에세이] “욕망은 인간의 본질이다” 우리의 일상적인 언어 생활에서 욕구와 욕망은 구분없이 혼용되기도 하지만, 엄밀히 따지자면 둘은 좀 다른 것이지요. 생존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을 원한다면 그건 욕구(need)지만, 생존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 아닌 것을 원한다면 그건 욕망(desire)입니다. 그간 수많은 사상가들이 욕망의 정체에 대해 많은 말을 쏟아 냈는데, 그 핵심은 인간의 욕망엔 끝이 없다는 것이었지요. “인간의 욕망은 만족할 줄 모른다. 왜냐하면 본성에 의해 우리는 모든 것을 갈구하도록 창조되었지만, 운명에 의해 우리는 이 모든 것 가운데 단지 일부만 얻을 수 있는 상황에 처해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인간의 마음은 항상 불만족 상태에 놓여 있다.” 이탈리아 사상가 마키아벨리(.. 더보기
왜 권력을 누리면 사람이 달라질까? : 권력에 대한 단상 왜 권력을 누리면 사람이 달라질까? : 권력에 대한 단상 “저 사람 안 그랬었는데 권력 맛을 보더니 달라졌네.” 우리 주변에서 쉽게 들을 수 있는 이야기다. 우리는 궁금하다는 듯 그렇게 말하긴 하지만, 사실 그 이유를 모르진 않는다. 권력이 있는 높은 자리에 오르게 되면 당장 만나는 사람들이 달라진다. 무엇보다도 머리를 조아려가며 아쉬운 소리를 하는 사람들이 많아진다. 권력의 자리에 오르기 전에 아무리 겸손했던 사람이라도 그런 사람들을 일일이 겸손하게 대하기는 어렵다. 좀 건방지고 거들먹거리는 태도를 갖는 것이 일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는 것도 알게 된다. 그렇게 달라진 태도를 한동안 지속하다보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그런 태도가 몸에 배게 되고, 이는 오랜만에 만난 예전의 친지들을 대할 때에도 드러나기 .. 더보기
<강준만 칼럼>‘금의환향 이데올로기’를 넘어서 ‘금의환향 이데올로기’를 넘어서 강준만(전북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우리 문화에서 은퇴한 많은 남성들, 특히 예순이 넘은 남성들은 나이를 먹은 덕에 가부장제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을 종종 느낀다. 마음대로 쓸 수 있는 시간이 생긴 결과 극심한 외로움, 소외, 의미의 위기, 혹은 그 밖의 여러 상황을 겪으면서 어쩔 수 없이 감정적 자아가 발달한다. 그들은 나이 든 세대로서 젊은 남성에게 일에 관한 가부장적 믿음이 틀렸음을 이야기해줄 수 있다.” 최근 벨 훅스의 [남자다움이 만드는 이상한 거리감]이라는 책을 읽다가 반가운 마음에 밑줄을 그은 대목이다. 왜 반가웠을까? 내용도 좋았지만, 세간의 속설과는 달리 나이 먹은 사람의 생각이 유연할 수 있음을 역설한 게 반가웠다. 미국 이야기라곤 하지만, 한국의 노인.. 더보기